오늘은 가계 소득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방법을 공유해보려 합니다.
이제 신혼 3년차라 슬슬 내집마련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어차피 내집이 내집이 아니고 은행집일테지만.
아무래도 전세를 살면서 청약을 노려보는 것이 현명한 방법 같은데,
전세금을 다 내 돈으로 충당하면 좋겠지만 일부분 대출로 진행하면 이자가 만만치 않으니 나라 혹은 시에서 지원하는 대출지원혜택을 받으면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 국가지원을 받기 위해선 지원 받을 수 있는 조건에 부합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어지간한 항목들은 딱 보면 상식적인 선에서 기다 아니다가 나오는데반해 부부합산소득은 명확하게 어떤 기준으로 확인하는건지 잘 안내된게 없어서 늘 답답했습니다.
청약도 마찬가지로, 신혼부부 특공을 노려볼까 알아봤는데 부부합산소득 얼마이하 이렇게 명시되어있는데 뭘 기준으로 확인해야하는지는 제대로 안내가 되어있지 않더군요.
그래서 직접 여기저기 물어물어 확인한 방법을 공유하려 합니다.
소득 확인 방법
소득 확인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우선 회사에 요청하여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받습니다.
그리고 어디를 보면 되는가하면,
'21.총급여' 바로 여기를 보면 됩니다.
여기 찍혀 있는 금액이 실제 본인의 연 소득과 조금 다를텐데요,
정기상여가 아닌 인센티브 보너스 같은 성과금은 포함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부부합산소득의 경우 21.총급여를 합산하면 되겠죠?
디딤돌 대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지원
청약 신혼부부 특별공급
기타 등등
소득조건을 확인 할 때는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21. 총급여 금액을 기준으로 보시면 깔끔하겠습니다.
월평균 소득은 12로 나누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아내가 임신을 해서 휴직을 해서 원천영수증에 금액이 적게 찍히는 경우!
이런 경우엔 21번 총급여 금액을 휴직하지 않은 개월수로 나눠서 곱하기 12를 한다고 합니다.
저는 보너스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저처럼 모르고 계신 분들 많을 것 같아요.
막연히 영끌연봉으로 소득 조건이 안돼ㅠ 라고 생각하신 분들
꺼진불도 다시 본다고,
소득 조건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고
지원 받을 수 있는거 다 받으시고 손해보지 마시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Life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골이방지 기구 뭐가 좋을까? (0) | 2020.01.23 |
---|---|
폐렴주의보!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 (0) | 2020.01.09 |
미국vs이란 내 주식은? (0) | 2020.01.08 |
효과적인 금연 비법 (0) | 2020.01.08 |
자동차보험 보험사 갈아타기 (1) | 2020.01.06 |
댓글